2025년 서울시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 (+서울맘케어시스템, 몽땅정보만능키)


서울시에서는 임신·출산시 전국 공통으로 제공되는 제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혜택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현재 서울맘케어시스템,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 교통비 지원, 산후조리경비 지원, 주거비 경감 등 서울시만의 지원 사업이 있으니 자격요건 및 신청기한을 꼭 확인하여 혜택을 놓치지 않길 바랍니다.


✔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

  • 대상: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임산부
  • 지원내용: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원 (임산부 본인 명의 신용(체크)카드에 70만원 교통 포인트 지급)
  • 사용처: 대중교통, 택시, 철도, 자가용 유류비 등
  • 신청기한: 임신 3개월(12주차) ~ 출산 후 3개월
  • 신청: 정부24 신청,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
✔ 서울시 엄마 북(Book)돋움 사업

  • 대상: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임산부
  • 지원내용: 엄마아빠책 1권 + 우리아이 첫 책 2권 + 서울시 육아정책정보 안내책자
  • 신청기한: 임신 3개월(12주차) ~ 출산 후 3개월
  • 신청: 서울맘케어 신청, 서울도서관 신청

✔ 서울시 산후조리경비 지원

  • 대상: 신청일 현재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산모 (서울시 출생신고)
  • 지원내용: 산모 1인당 산후조리경비 단태아 100만원 / 쌍태아 200만원 / 삼태아 300만원 (산모 본인 명의 신용(체크)카드에 100만원 바우처 포인트 지급)
  • 사용처: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, 의약품 및 건강식품 구매, 한약조제, 산후운동수강서비스
  • 신청기한: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
  • 사용기한: 출산일로부터 1년이 되는 달의 말일
  • 신청: 서울맘케어 신청,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
✔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

  • 대상: 신청일 현재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산모 (서울시 출생신고)
  • 지원내용: 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 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산모신생아 서비스 이용권 지급

  • 선정기준
    ① 기본지원 대상 : 기준중위소득 150%이하 출산가정
    ② 예외지원 대상 :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/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/ 희귀난치성질환 산모 /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 / 새터민 산모 / 결혼이민 산모 / 미혼모 산모 / 중위소득 150 초과 출산가정

  • 신청기한: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 까지
  • 바우처 유효기간: 출산일로부터 60일이내(60일이 경과되면 바우처 자격 소멸)
    ※ 단,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
  • 신청: 복지로 신청,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의 보건소 신청

✔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

  • 대상: 서울시 거주 중위소득 180%이하 중 12세이하 자녀가 있는 임산부, 맞벌이, 다자녀 가정
  • 지원내용: 1가정당 가사서비스 70만원 (신청자 본인 명의 카드에 가사서비스 포인트 지급)
  • 신청기한: 2025년 11월 21일 (단, 예산소진시 조기마감 될 수 있음)
  • 사용기한: 2025년 11월 30일
  • 신청: 서울맘케어 신청,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

✔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

  • 대상: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임산부, 분만 예정 연도 기준 35세 이상
  • 지원내용: 임산부 외래 진료 및 검사비 최대 50만원 지원
  • 지원방법: 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 이체
  • 신청기한: 임신 확인 후부터 출산 후 6개월 이내
  • 신청: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신청


✔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

  • 대상: 출산(유·사산)한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임산부
  • 자격요건
    ① 고용노동부 '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' 수혜자
    ②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및 자녀 서울시 출생신고
  • 지원내용
    ①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90만원 지원
    1인당 출산 급여 240만원 보장 = [고용노동부]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150만원 지원 + [서울시] 90만원 지원
    (※다태아 170만원)
    ② 유·사산 산모는 임신기간에 따라 차등지원
  • 신청기한: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
  • 신청: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신청

✔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

  • 대상: 2025.1.1 이후 출산가구
  • 지원내용: 최대 월 30만원 주거비 지원(2년간 총 최대 720만원)
  • 자격요건
    ① 공고일 기준 신청자(부 또는 모) 서울시 거주 및 신청자와 자녀 동일 주소
    ② 자녀 서울시 출생신고
    ③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    ④ 출산가구 대상 주거 관련 정부 및 서울시 정책 수혜자 제외

  • 주거요건
    ① 공고일 기준 부,모 모두 무주택일 것
    ② 공고일 기준 공공임대주택 미거주자일 것
    ③ 전세보증금 3억원 또는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130만원 이하
    (전월세전환율 5.5%기준, 만원단위 절사, 주택면적 전용 85㎡이하)

  • 신청기한: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
  • 신청: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신청


✔ 서울 엄마아빠택시 지원

  • 대상: 서울시에 주소를 둔 24개월 이하 영아를 양육하는 실질적 양육자 (2023년 1월생부터)
  • 지원내용: 영아용 카시트가 구비된 택시 이용권(포인트) 영아 1인당 연 10만원 지원
  • 운영업체: 타다, 파파
  • 신청: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신청

✔ 기타 서비스

  •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서비스
  • 서울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사업
  • 다둥이 행복카드
  • 다태아 안심보험 지원

0 댓글